분류 전체보기444 <손편지 특집> 친애하는 독자분들께, 2019. 12. 12. 경험이 중요하다. 오늘은 경험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경험을 통해 한 인간으로서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점점 성숙해지는 나 자신을 볼 수가 있었죠. 만약 저에게 그러한 무수한 경험이 동반되지 않았더라면 훨씬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을 겁니다. 그러면 많은 경험이 가져다주는 유익한 효과에 대하여 제가 느낀 점을 바탕으로 기술해보겠습니다." 첫째, 시야를 넓혀준다. - 경험이 쌓이면 쌓일수록 그만큼 우리의 식견은 넓어지기 마련입니다. 여기서의 경험은 좋은 경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험도 포함합니다. 여러 상황을 겪으면서 사물을 여러 각도에서 두루 살펴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죠. 두 번째, 타인을 이해하게 된다. -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는 것은 그만큼 많은 .. 2019. 12. 12.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오늘 글의 제목이 꽤나 자극적이죠. 그만큼 제가 중요하게 해드릴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힘을 좀 줘봤습니다. 요즘 서점에 가보면 자존감이나 마음 관리에 관한 책들이 굉장히 눈에 잘 띕니다. 그만큼 사람들이 타인과 나의 관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많이 호소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요즘 서가를 보면 , 와 같이 책의 제목 또는 목차가 삽입되어 있는 소위 마음 관리에 관한 에세이 집들이 많은 추세인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과연 책에서 말하듯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는 게 무조건적으로 우리에게 좋은 걸까요? 저는 그에 대한 자답으로 단호하게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지 마세요!"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그러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할 줄 아는 게 나 자신에게 자존감과 자.. 2019. 12. 9. 나는 정원사다. 조직 내의 성과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저는 그에 대한 대답으로 원활한 소통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원활한 소통이라 하면 서로의 입장 차이를 존중하며 의견을 공유하는 쌍방향식의 대화 방식을 말하지요. 저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는 일을 해왔어요. 가장 오래 일한 직종은 서비스업 분야입니다. 생애 첫 아르바이트도 서비스업이었어요. 서비스업은 사람들과 사소한 것에서부터 일일이 의견을 주고받아야 일이 진행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정말 많이 사람들을 만났던 것 같아요. 저의 서비스업 경력은 총합 5년~6년 정도 되는 것 같아요. 그러니 그 몇 년 간 얼마나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났겠어요. 정말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저도 모르게 의사소통을 몸으로 체득한 것이죠. 하지만 상황이.. 2019. 12. 7.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11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