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123 대한민국이 자존감 결핍 왕국이 된 이유?(※열받음 주의!) (1/2) 서점에 방문해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유형의 책은 자존감에 관한 책이더라고요. 또 유튜브에서는 자존감에 관한 영상들이 곧잘 쉽게 눈에 띄곤 하는데요. 그러한 책이나 영상을 발견할 때면 사실 기분이 썩 좋지가 않더라고요. 마음 같아서는 이 사회에 멍청한 인생 선배들에게 욕을 한 다발 쏟아내고 싶은 심정이지 않나 싶어요. 대한민국 사회의 많은 젊은이들이 자존감 결핍으로 오랫동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같은 세대의 젊은이로서 매우 안타깝고 도저히 참아낼 수가 없을 정도로 화가 치밀어 오르는 것 같습니다. 제 주변만 봐도 5명 중에 3명은 이 자존감이란 것을 기준으로 영 온전치가 못해요. 그렇다면 이건 누구의 잘못일까요? 설마 당사자에게 잘못이 있다고 말하는 분은 없길 바랍니다. 그런데 모를 수도 있어.. 2020. 2. 3. 대한민국이 자존감 결핍 왕국이 된 이유?(2/2) 그렇다면 어린 시절 제대로 된 사랑과 관심을 받지 못해 자존감의 갈증을 느끼는 이들에게 우리 사회가 어떤 해답을 내놓을 수 있을까요? 끊임없이 관심과 인정을 기대하는 이들에게 끊임없는 관심과 애정을 기울여야 할까요? 그럼 그건 누가 어떻게 해줄 수 있을까요? 제가 생각하기에 이에 대해 어떠한 해답도 내리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가혹하지만 이 역시 그들 본인의 몫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엎질러진 물에 사회가 개인에게 줄 수 있는 것은 미래 세대의 안녕을 기하는 안정화된 사회 복지 체제의 구축일 것입니다. 부모 교육 나아가 전인 교육에 많은 관심과 집중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행복하지 않은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에게는 부작용이 일어나기 마련이고, 충분히 자존감을 채우지 못한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서 갖가지 .. 2020. 2. 3. 사람을 고쳐쓸 수 있다고요? 오늘은 저의 글쓰기 스승님인 김민식 PD님의 블로그 글을 보고 인상이 깊어서 관련해 글을 써보고자 해요! (↓PD님의 글 링크 남깁니다.↓) https://free2world.tistory.com/2373 물건을 고치려면 방학마다 민서와 가는 곳이 있습니다. 7호선 뚝섬유원지 역 옆 한강시민공원입니다. 여름에는 수영장이 개장하고 겨울이면 썰매장이 들어섭니다. 매년 겨울, 이곳에서 썰매를 타는 게 우리의 겨울 놀이입니다. 썰.. free2world.tistory.com 김민식 PD님은 글에서 '타인을 고치는 건 쉽지 않으니 그것보단 나의 태도를 바꾸는 게 낫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에 너무나 공감이 되었어요. 제가 2019년도에 가장 크게 깨달은 생각이거든요. 타인을 바꾸는 건 불가능까지는 아니겠지만 .. 2020. 1. 27. COME BACK HOME - COME BACK HOME - 명절을 틈타 서울로 돌아왔어요. 그리고 지금 글을 쓰고 있는 곳은 패스트푸드점입니다. 아침에 차례를 지나고, 조금 쉬다가 넘어왔답니다. 독자님도 설날 아침 잘 보내셨는지요? 가족이나 친구들과 보내시는 분도 있겠고, 그냥 혼자 편히 휴일을 보내시는 분도 있으시겠네요. 그래서 오늘은 명절인 만큼 가족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방법을 제시해보도록 할게요. 독자님에게 가족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요? 사실 의미라고 하면 사람마다 천차만별일 겁니다. 가족이란 단어가 썩 달갑지 않은 분도 계시겠고요. 그리고 화목한 가정을 꿈꾸고 부러워할 수도 있을 텐데요. 사실 전혀 부러워할 필요가 없어요. 사실 부러워할 수도 없고요. 무슨 말이냐면, 밖에서 볼 때 평.. 2020. 1. 25.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1 다음 728x90 반응형